분류 전체보기 (85)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Framework] 느슨한 결합력과 인터페이스 '뉴렉처' 님의 채널(www.youtube.com/user/newlec1)을 바탕으로 제작한 블로그 글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느슨한 결합력과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 어플리케이션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우선 Service Layer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입니다. 내부적인 부분이나 구현 기술에 대한 것들은 숨긴 채로, 데이터를 받아 그것을 어떻게 사용자에게 줄지 구현하기 위한 부분입니다. Dao Layer는 서비스가 업무 로직에 필요한 데이터를 요청하면 그에 알맞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부분입니다. Data Access Object의 약어로, 실질적으로 DB에 접근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순간부터,.. [Android] 객체 직렬화, Serializable 안드로이드로 개발을 하다가, 만들어둔 객체를 다른 Activity에 Intent로 넘겨주고싶어서 찾아보니 Serializable을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는걸 알게 되었는데요, 이 Serializable, 즉 직렬화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해당 글은 아래의 글들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wooooooak.github.io/android/2019/09/19/Serializable-vs-Parcelable/ lueseypid.tistory.com/42 daem0n.tistory.com/entry/%EB%A9%80%ED%8B%B0%EC%BD%94%EC%96%B4-%ED%94%84%EB%A1%9C%EC%84%B8%EC%8A%A4-%EC%9D%98%EC%A1%B4%EC%84%B1roc.. [Spring Framework] 왜 Spring을 써야하는가? 서론 최근에 자바를 통해 웹 개발을 하면서, Spring이라는 프레임워크가 굉장히 널리 쓰이고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아래는 프로그래머스에서 한 2019 개발자 설문지인데, 굉장히 높은 비율로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고 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추가로 게임 개발자의 경우에는 '.NETCore', 'ASP'를, 네트워크 개발자는 'Cocoa'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도 학교 과제 프로젝트를 위해서 웹 개발을 Spring Framework로 입문한 이후로, 쭉 스프링을 사용해서 개발을 진행하고있습니다. 그러던 도중, 왜 Spring Framework를 왜 사용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생각해보니 Java를 처음 배울 때는 이클립스를 사용해서 배웠었는.. [C++] STL 프로그래밍 (2) - 연결 리스트 (list) STL에서 제공하는 자료 구조 중 하나인 list는 연결리스트 개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lis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결리스트란 무엇인지 알아야합니다. -연결 리스트 연결리스트는 배열과 비슷하게 생긴 자료구조지만, 몇가지 특징을 통해 뚜렷하게 구별됩니다. 아래는 배열과 연결리스트를 간단하게 표현한 모습입니다. 첫번째는 배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두번째와 세번째는 각각 연결 리스트의 종류 중 하나인 단방향 연결 리스트와 양방향 연결 리스트입니다. 배열은 index를 이용하여 거북이나 사자, 호랑이, 햄스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결리스트는 이와 같이 index로 직접 접근하지 않습니다. 연결리스트는 node(노드)라 불리는 하나의 데이터에서 다음 node의 위치를 찾아 접근합니다.. [C++] STL 프로그래밍 (1) - 템플릿 STL은 'Standard Template Library'의 약자로, 자주 사용되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모은 라이브러리입니다. vector, map, set등의 자료 구조와 find, search등의 알고리즘이 이에 해당합니다. - Template STL을 이해하기에 앞서, template의 개념을 먼저 이해해야합니다. 만약 두개의 int 값을 더하는 함수를 작성하려면 아래와 같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Sum(int a, int b) { return a + b; } int main() { cout 이전 1 ··· 6 7 8 9 다음